독거노인 장애인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 총 정리
본문 바로가기
생활 꿀팁

독거노인 장애인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 총 정리

by 인포마당 2023. 7. 6.

독거노인 장애인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란?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가정에 화재 감지기, 활동량 감지기 등을 설치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독거노인 및 장애인 분들이 신속하게 대처하고 소방서에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서비스로 신청 방법을 무료로 신청하시어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 

독거노인장애인응급안전안심서비스


 지원대상

✔ 상시 보호가 필요한 독거노인 및 장애인에게 지원합니다.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동거자 유무와 관계없이 실제로 혼자 살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아래의 ① 기초생활수급자, ② 차상위 또는 ③ 기초연금수급자인 자에 해당하거나 그 외 기초지자체(시·군·구) 장이 생활여건,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상시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에 해당합니다.

  • (독거노인) 기초생활·차상위 및 기초연금수급자이거나, 생활여건·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시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 

✔ 장애인의 경우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등 상시 보호가 필요한 자로 장애인활동지원 13구간 이상이면서 독거 또는 취약가구에 해당하는 장애인 또는 장애인 활동지원 14구간 이하이거나 그 외 장애인으로서 기초지자체장이 독거, 취약가구 등의 생활 여건을 고려하여 상시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장애인의 경우에 해당합니다. 

  • (장애인)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등 상시 보호가 필요한 자

 지원내용 

✔ 응급안전안심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제공됩니다.

  • 응급상황 모니터링
  • 안전확인
  • 생활교육
  • 서비스 연계

✔ 응급안전안심서비스의 제공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독거노인 및 장애인 가정에 화재·가스 감지센서 및 응급호출기 등을 설치하여 응급상황에 상시 대응하고 안전확인을 비주기적으로 실시
  • 대상자의 안부 및 욕구를 파악하여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시스템의 점검 및 사용법을 안내하고 응급안전시스템 이용 사례에 대해 교육
  • 실제 응급상황 여부를 확인하고 사후관리를 진행
  • 부재 등으로 인해 안전을 확인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웃(이장 등)을 통해 안전 확인 조치를 시행

 신청방법

✔ 독거노인 장애인 응급안전 서비스 신청은 거주지 해당 읍/면/동 주민센터, 지역센터 및 수행기관에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 서비스에 대한 궁금한 문의는 보건복지상담센터 또는 주민센터를 통하여 문의하시면 됩니다.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