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사업 신청방법 총 정리
본문 바로가기
돈이 되는 꿀팁

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사업 신청방법 총 정리

by 인포마당 2023. 9. 27.

서울특별시에서는 찾아가는 현장중심의 위기가구 발굴체계를 구축하여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. 민·관 협력을 통한 복지사각지대를 상시적으로 발굴체계를 구축하고 활용하여 지원 및 사후 관리까지 운용된다고 합니다. 

위기가구발굴지원사업


 

 위기가구 발굴이란?

복지사각지대의 위기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해당가구에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단전, 단수, 건보료 체납정보 등 18개 기관 38종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기가구를 선제적 발굴합니다.

  • 단전·단수, 건보료 체납정보 등 18개 기관 38종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
  • 복지플래너, 방문간호사, 명예사회복지공무원, 이웃살피미, 우리동네돌봄단 등 활용
  • 전체 복지수혜자 대상 위기도(1~4단계)에 따른 연간모니터링 실시
  • 숨은 위기가구 대상 기획발굴 조사 실시
  • 모텔, 고시원 거주 등 추거 취약계층 전수조사(연2회, 동·하절기)
  • 무료급식소, 보호관찰소 등 취약계층 밀집지역을 찾아가는 복지현장상담소 운영
  • 전입신고서, 일간지, 전광판, 현수막, 소식지, 시·구 홈페이지, SNS 등 온·오프라인 홍보 

 

 

 지원체계 

동주민센터 내방, 찾동 방문서비스, 위기가구 발굴관리시스템, 통반장 등 복지공동체, 검침원, 우체부 등 주민밀착조직, 자발적 이웃들이 협력하여 위기가구를 발굴하게 됩니다. 발굴된 가구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, 서울형 기초보장, 국가 긴급복지, 서울형 긴급복지, 민간기금 등 여러 지원제도를 통하여 소득기준, 재산기준, 금융기준에 맞게 지원을 받게 됩니다. 

 

 위기가구기준 

복지사각의 위기가구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 위기가구 신고는 02-120이나 동주민센터로 신고하면 됩니다. 카카오톡, 네이버, 여러 은행기관들을 통하여 간편인증으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 

  • 단전·단수 건강보험, 각종 세금 등이 체납된 가구
  • 주소득자의 사망, 실직, 질병, 장애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
  • 휴·폐업으로 위기에 처한 영세 자영업자
  • 돈이 없거나 있어도 경제적 부담으로 식사를 거르거나 주거생태가 열악한 가구
  • 냉·난방 시설이 없거나 있어도 경제적 부담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가구
  •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
  • 세입자 중 월세가 체납되거나 보증금에서 월세를 차감하고 있는 가구
  • 1인 가구 중 연고가 없는 자로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 빈곤가구
  • 실직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는 가구 등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