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1년에 최대 79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올해 7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출시되는데요. 청년, 저소득층에게는 더 많은 적립이 된다고 합니다. 사용이 간소화되어 주민번호만 입력하면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 아래 내용을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마일리지란?
대중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서민의 교통비를 절감하고, 보행·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관리 정책으로서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급되는 마일리지입니다.
신청방법
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시 출발지에서 승차점까지 이동거리, 하차점에서 도착지의 이동거리의 합으로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.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.
적립금액
대중교통 이용금액으로 최대 지급액이 결정되며, 적립액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적립됩니다. 마일리지 지급액은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최대 90%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이동거리에는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* 대중교통 이용금액 별 적립금액
대중교통요금 | 2,000원 미만 | 2,000원 이상~3,000원 미만 | 3,000원 이상 |
기본 마일리지 | 최대 250원 | 최대 350원 | 최대 450원 |
만 19세 ~ 34세 청년 마일리지 | 최대 350원 | 최대 500원 | 최대650원 |
저소득층 마일리지 | 최대 700원 | 최대 900원 | 최대 1,100원 |
* 이동거리 별 적립액
대중교통요금 | 800m 미만 | 800m 이상 |
기본 마일리지 | 이동거리에 비례 | 최대 금액 지급 |
적립방법
마일리지 적립을 위해서는 이동거리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- 출발/도착 버튼을 누른 지점의 좌표와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합니다.
- 자주 이용하는 출/도착지와 정류장을 미리 등록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.
- 휴대폰으로 걸음수를 측정하여 승하차 시간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계산합니다.
적립기준
대중교통 1회 이용 시 이동거리 최대 800m까지 인정되며, 월 15회 미만 이용 시 적립액은 소멸됩니다.
- 보행 자전거 이동 시, 최대 800m까지 차등 적립
- 노선버스: 마을버스, 시내버스, 광역버스(시외버스, 고속버스 제외)
- 도시철도: 수도권, 부산, 대구, 광주, 대전(경전철 포함)
- 여객철도: 광역철도(KTX, 새마을, 무궁화호 등 일반 철도 제외) - 월 15회 이상 최대 44회 이용분 마일리지 지급
- 4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으로 44회까지 익월(익익월) 지급됩니다.
- 월 15회 미만 사용 시 마일리지는 소멸되고 첫 달은 횟수와 무관하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- 충남지역 방문 시, 충남버스↔수도권1호선 환승 시, 환승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
- 새천안교통, 보성여객, 삼안여객 운수사 버스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불가 - 충청남도 도민의 경우 충남버스↔타 지역 버스 환승 시,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 환급
- 경기, 대전, 세종, 충북, 전북 버스로 45분 이내 환승해야 합니다.
- 3회 환승(탑승 4회)까지 환급됩니다.
- 충남운수버스를 타지 않는 경우 환급되지 않습니다.
추가적립
환경의 날,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에는 마일리지 2배 적립 저소득층 서류 제출 시 최대 마일리지를 상향하여 적립할 수 있다고 합니다.
✔ 저소득층 마일리지 상향지원
교통비 3,000원 이상 사용 시 최대 1,100원 적립 가능(저소득층 서류 검증 통과 시)
✔ 만 19세 ~ 만 34세 청년마일리지 적립(23년 1월부터)
✔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 마일리지 2배 적립
✔ 환경 관련 기념일 마일리지 2배 적립
미세먼지 발령일과 중복 적립되지 않으며 별도 공지가 없는 날은 추가 적립되지 않습니다.
적립/지급방법
지급조건은 알뜰교통카드 사업에 참여 중인 지역주민이어야 하며 월 15회 이상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시민으로 최대 44회까지 적립된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. 카드사, 모바일캐시비, IM원패스, 티머니에서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신용공여기간이란? 고객이 카드로 물건을 사거나, 현금서비스를 받은 날로부터 대금을 결제하거나 돈을 갚은 날까지의 기간입니다. 하나카드의 경우 신용공여기간에 따라 마일리지 지급일이 다다음달(2달 뒤) 지급될 수 있습니다.
'돈이 되는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대문구 임신·출산 지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(1) | 2023.07.04 |
---|---|
아동 공공의료지원제도 신청 방법 총 정리 (0) | 2023.07.03 |
푸른나눔 위기가정지원사업 신청 총 정리 (0) | 2023.06.27 |
서울형 긴급복지 생계비 지원금 신청 총 정리 (0) | 2023.06.26 |
미환급금 조회 및 환급금 신청 방법 (0) | 2023.06.24 |
댓글